2025년부터는 출산 후 산모를 돕는 산후도우미로 친정엄마도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그동안 정부는 전문 산후도우미 업체 소속 인력만을 대상으로 바우처 지원을 제공했지만, 현실적으로 산모의 산후 회복을 도와주는 가장 중요한 존재는 바로 가족이었습니다. 특히 친정어머니나 시어머니처럼 신뢰할 수 있는 가까운 가족이 산모를 도와주는 경우가 많았지만, 제도적 지원은 없었죠.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을 2025년부터 개편하여, 일정 요건을 갖춘 가족도 산후도우미로 등록해 정부의 바우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단, 여기서 핵심은 가족이라고 해서 무조건 등록되는 것이 아니라,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자격증’을 반드시 취득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제도 변화의 핵심 내용과 함께 자격증 취득 방법, 신청 자격, 바우처 지원금, 유의사항, 실제 활용 팁까지 상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왜 가족 산후도우미 제도가 신설되었을까?
기존 제도는 정부가 위탁한 업체에서 파견된 전문 도우미를 통해서, 그리고 시어머니 까지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에는 여러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 낯선 사람에게 산후 회복과 신생아를 맡겨야 하는 부담감
- 업체와의 궁합 문제, 서비스 만족도 차이
- 실제로는 가족이 돌보는데 지원은 받지 못하는 불합리
이러한 현실을 반영해, 가족이 실제 돌봄을 담당하더라도 동일한 서비스 품질과 요건을 갖추면 제도권 안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정책이 개선된 것입니다.
📋 2025년 가족 산후도우미 제도 핵심 요약
항목변경 전2025년부터 변경
항목 | 변경 전 | 변경 후 |
지원 대상 | 산후도우미 업체 소속 관리사, 시어머니 | 친정엄마 포함 가능 |
자격 요건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자격증 | 가족도 동일 자격 필수 |
바우처 방식 | 국민행복카드로 지급 | 동일 방식 유지 |
지원 내용 | 소득기준에 따른 시간 및 금액 지원 | 동일 기준 적용 |
✔ 단순 가족이라는 이유만으로는 지원 대상이 아니며, 반드시 공식 자격증 소지자여야 함을 명확히 기억하세요.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자격증 취득 안내
1. 자격증 정식 명칭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자격증 (보건복지부 인증)
2. 교육과정
구분 | 내용 |
총 교육시간 | 60시간 이상 (이론 + 실습 포함) |
교육 내용 | 산후 회복 지원, 신생아 돌봄, 모유수유 관리, 감염 예방 등 |
이수 조건 | 출석률 80% 이상 + 평가 통과 |
교육 방식 | 오프라인 or 온라인 병행 (기관에 따라 다름) |
✔ 교육기관은 보건복지부가 위탁한 기관만 인정되며, 민간 교육기관 수료증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3. 교육비용
- 일반적으로 30만 원 ~ 50만 원 수준이며, 일부 지자체는 교육비 일부 지원 제도 운영 중
4. 자격증 유효성
- 자격증은 별도의 유효기간 없음. 다만, 실제 활동 여부는 지자체 등록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가족 산후도우미 등록 절차
- 자격증 취득
- 공식 교육기관 수강 → 이수 평가 통과 → 자격증 발급
- 서비스 신청 (산모가 직접 신청)
- 복지로(www.bokjiro.go.kr), 정부24, 주민센터 등에서 출산 40일 전부터 신청 가능
- 가족 도우미 등록 요청
- 가족관계증명서, 자격증 사본, 건강진단서 등 제출
- 지자체 심사 후 등록 승인
- 서비스 수행 및 정산
- 활동일지 작성 → 산모 서명 첨부 → 바우처 정산
✔ 활동일지는 바우처 정산의 핵심 기준이므로 반드시 정확히 기록해야 합니다.
💰 지원금 및 바우처 사용 기준
정부는 기존 산후도우미 바우처와 동일하게 가족 산후도우미에게도 지원금을 제공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출산 순위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출산 순위 | 소득 기준 | 지원일수(시간) | 정부지원금 | 본인부담금 |
첫째아 | 중위소득 150% 이하 | 10일(90시간) | 약 1,138,000원 | 약 286,000원 |
둘째아 이상 | 중위소득 150% 이하 | 15일(135시간) | 약 1,707,000원 | 약 429,000원 |
소득 기준 초과 | 전체 | 60시간 기준 | 약 760,000원 | 약 440,000원 |
✔ 국민행복카드로 지급되며, 가족 도우미가 수행한 내역을 제출하면 정산 가능
⚠️ 유의사항 정리
- ✅ 자격증 미보유 가족은 지원 대상 아님
- ✅ 지자체마다 추가 서류나 조건이 있을 수 있음 → 반드시 거주지 보건소 확인 필요
- ✅ 복수 산모 활동 불가 → 동일 기간 중복 활동은 제한됨
- ✅ 세대 분리 필요 여부는 지자체 판단에 따름
💡 활용 팁
- 출산 3개월 전부터 자격증 취득 준비 시작하기
- 교육기관은 반드시 보건복지부 위탁기관인지 확인
- 자격증 보유 후에도 등록 심사 절차는 별도로 존재함
- 추후 정식 산후도우미 활동으로 확장도 가능 (단기간으로 끝나지 않음)
🧠 마무리하며
2025년부터 시행되는 가족 산후도우미 제도는 단순히 ‘가족이 도와준다’는 것을 넘어, 제도적으로 가족의 돌봄을 인정하고 보상하는 매우 현실적인 제도 변화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제도 활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공식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며, 신청 및 등록 절차도 정확히 따라야만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친정엄마, 시어머니가 산모를 도와줄 예정이라면 지금부터 교육 수강 계획과 신청 절차를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입니다.
'셍띠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산 역류 줄이는 수면 자세와 식단, 증상 완화를 위한 가이드 (2) | 2025.04.13 |
---|---|
최신 그래픽카드 비교 – NVIDIA vs AMD 성능, 가격, 전력 소비 총정리 (2) | 2025.04.13 |
음식을 먹지 않아도 혈당이 오르는 이유, 공복혈당 상승의 원인과 관리법 (0) | 2025.04.13 |
출산 준비물 리스트 완전정복! 초보 엄마를 위한 현실 가이드 (0) | 2025.04.13 |
자면서 앓는소리를 내는 이유, 어떤 원인이 있을까? (1)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