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셍띠네

반려견 목줄 미착용, 과태료만이 문제가 아닙니다

by 셍띠 2025. 3. 27.
728x90
반응형

산책 중 반려견에게 목줄을 채우지 않으면 과태료는 물론 사고 발생 시 법적 책임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보호자들이 여전히 정확한 단속 기준과 책임 범위를 모른 채 방치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법령, 실제 단속 사례, 책임 범위를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반응형

반려견 목줄 미착용, 과태료만이 문제가 아닙니다

반려견 목줄 착용, 법으로 어떻게 규정돼 있을까?

동물보호법 제13조 제2항에 따르면, 개를 동반하고 외출할 때는 반드시 목줄 등 안전조치를 해야 하며,
그 길이는 2미터 이하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 단순히 목줄을 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 견주의 통제가 가능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하고,
🔹 공공장소에서는 입마개 착용이 권고되기도 합니다.


목줄 미착용 시 과태료 기준 (2024년 기준)

위반 횟수 과태료 금액
1회 적발 20만 원
2회 적발 30만 원
3회 이상 50만 원

※ 지자체 조례에 따라 금액이 더 높거나, 현장 계도 없이 바로 부과될 수 있음
입마개 미착용(맹견 대상)은 별도 과태료 규정 (최대 300만 원)


실제 단속, 어디서 얼마나 이뤄지고 있을까?

📍 단속 빈도가 높은 장소

  • 공원 및 산책로 (특히 가족·어린이 동반 많은 곳)
  • 아파트 단지 내 공용공간
  • 지자체 신고 다수 접수된 지역

💡 대부분의 지자체는 정기 단속(봄/가을) 또는 신고 기반 민원 대응 단속을 진행합니다.


목줄 미착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유형

1. 타인에게 위협 또는 공격

  • 사고가 발생하지 않아도 짖거나 달려들기만 해도 처벌될 수 있음
  • 특히 어린이, 노약자에게 위협을 가할 경우 형사 고발 가능

2. 타 동물과 다툼

  • 다른 반려견, 고양이 등을 물거나 위협하면 견주 간 법적 분쟁 발생
  • 치료비, 정신적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가능

3. 교통사고 유발

  • 목줄 없이 달려가 차량과 접촉 → 운전자 피해 발생 시 과실비율 높음

견주가 감당해야 할 책임, 단순 과태료 이상

사고 유형 견주 책임 범위
인명 피해 민사(손해배상) + 형사(과실치상·중상해 등)
반려동물 피해 치료비 전액, 후유증에 따른 보상
공공기물 파손 수리비 전액 + 공공재산 훼손 책임
사고 후 도주 형사처벌 및 과태료 상향 가능성

법원 판례로 본 목줄 미착용 사고의 결과

📌 판례 1

공원 산책 중 목줄 없이 뛰던 반려견이 노인을 넘어뜨려 고관절 골절 발생
→ 견주에게 치료비 + 위자료 포함 1,200만 원 배상 판결

📌 판례 2

목줄 없이 산책 중이던 중대형견이 소형견을 공격해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
→ 견주, 민사 800만 원 손해배상 + 형사처벌(과실치사) 병행


실효성 있는 단속을 위한 변화

  • 2024년부터 일부 지자체에서는 CCTV 영상 판독 후 목줄 미착용 과태료 부과 시범 도입
  • 맹견 외 중대형견 대상 입마개 권고가 → 의무화로 바뀔 가능성도 제기됨
  • 지역 커뮤니티 앱, 주민 민원 시스템 통해 신고 시스템 강화 중

반려견 목줄, 올바르게 착용하는 법

  1. 목줄 길이 2m 이하 유지
  2. 줄을 느슨하게 하지 말고 손에 감아 단단히 고정
  3. 리드줄은 ‘자동줄’보다 고정식 줄이 안전성 높음
  4. 맹견 또는 15kg 이상 중형견은 입마개 병행 권장

결론

반려견에게 목줄을 하지 않는다는 건 "우리 강아지는 안 물어요"라는 믿음으로 타인의 안전을 무시하는 행동일 수 있습니다.

과태료를 피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사고를 예방하고 반려동물의 사회적 권리를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책임입니다.

목줄은 선택이 아닌, 법적 의무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