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AI 이미지 생성 도구를 활용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과연 이 이미지를 상업적으로 활용해도 안전할까요?
반응형
AI 이미지, 저작권은 누구에게 있을까?
AI로 생성된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저작권법상 보호를 받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저작권법은 “인간의 창작물”에 대해서만 저작권을 인정하기 때문입니다.
AI는 인간이 아니므로, 스스로 만든 이미지에 법적으로 창작자 개념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AI 이미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라이선스가 중요하다: 플랫폼 이용약관 확인 필수
저작권이 없다 해도, 이미지 생성 플랫폼들은 대부분 자체 이용약관(License Agreement)을 갖고 있어,
사용자가 그 조건에 따라 사용 범위를 제한받을 수 있습니다.
플랫폼 | 상업적 사용 가능 여부 | 주의사항 |
Midjourney | 유료 이용자만 가능 | 무료 계정은 이미지 공개 및 비상업적 사용만 허용 |
DALL·E (OpenAI) | 가능 | 생성물에 저작권 없음, 단 OpenAI 정책 따름 |
Stable Diffusion | 가능 | 오픈소스지만 학습 데이터 기반 분쟁 위험 |
Canva AI 이미지 | 유료 조건 가능 | 일부 이미지에 사용 범위 제한 있음 |
즉, ‘내가 만든 이미지니까 내 것’이라는 생각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AI 플랫폼의 라이선스 조항을 반드시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실제 법적 분쟁 사례
- 게티이미지 vs Stability AI (2023)
Stability AI가 게티이미지의 사진을 무단 학습 데이터로 사용한 혐의로 피소됨.
→ AI가 만든 이미지라도 학습 데이터 출처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경고 - 픽사 스타일 그림 NFT 사건
AI로 생성된 이미지가 픽사 캐릭터 스타일과 유사하다며 경고 및 삭제 요청을 받은 사례.
→ 직접적인 복제가 아니더라도 특정 브랜드의 ‘스타일’을 모방하면 분쟁 소지 발생 - 온라인 쇼핑몰 상품 이미지 삭제 조치
AI로 만든 이미지로 제품을 등록했지만, 기존 작가의 스타일과 유사하다는 이유로 제재
→ 스타일 유사성만으로도 법적 리스크
사용 시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
항목 | 설명 |
플랫폼 라이선스 확인 | 유료/무료 여부, 상업적 사용 가능 여부 |
스타일 유사성 여부 | 유명 작가나 브랜드 스타일은 주의 |
로고·문구 포함 여부 | AI가 실존 브랜드나 인물, 로고를 생성했을 경우 삭제 권장 |
프롬프트 기록 보관 | 생성 일자, 키워드, 플랫폼 등을 남겨두면 분쟁 시 입증 자료로 사용 가능 |
직접 수정 및 후처리 | AI 이미지에 손을 더해 ‘2차 저작물’로 활용하면 리스크 감소 |
상업적 활용 시 주의할 사용 예시
- ✅ 유튜브 썸네일 (단, 명확한 브랜드/인물 포함 금지)
- ✅ 블로그 이미지, 인쇄물 삽입용 일러스트
- ✅ 제품 포장 디자인, 굿즈 활용 (라이선스 조건 확인 필수)
- ❌ 유명 캐릭터/작가 스타일 연상시키는 이미지
- ❌ 실존 브랜드명·로고가 노출된 AI 이미지
결론
AI 이미지 생성 도구는 디자이너나 창작자에게 혁신적인 도구이자 강력한 생산성 자산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법적 책임에서 완전히 자유롭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저작권은 없지만 라이선스가 존재하고, 스타일, 구성, 학습 데이터 출처에 따라 분쟁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 상업적 목적이라면 반드시 플랫폼의 정책을 읽고, 기록을 남기고, 법적으로 문제될 수 있는 요소를 제거한 후 사용하는 것이 현명한 AI 이미지 활용의 첫걸음입니다.
728x90
반응형
'셍띠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중성화 수술 후 주의할 점과 회복 기간 (0) | 2025.03.22 |
---|---|
무단 퇴사 후 마지막 월급을 못 받았다면? (1) | 2025.03.22 |
탄산수 많이 마시면 진짜 위에 안 좋을까? 속 시원한 진실 (1) | 2025.03.22 |
영양제 여러 개 동시에 먹으면 간에 무리일까? (1) | 2025.03.22 |
고의적인 상습 리뷰테러, 법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까?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