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셍띠네

분유 타는 물 온도, 초보 부모가 자주 하는 실수

by 셍띠 2025. 3. 26.
728x90
반응형

분유 타는 물 온도, 정확히 이 온도 아닙니다: 초보 부모가 자주 하는 실수

분유를 처음 타는 부모님들이 가장 많이 검색하는 것이 바로 “분유 몇 도에 타야 하나요?”, “끓인 물 바로 부어도 되나요?” 같은 질문입니다. 겉으로 보기에 물이 식은 것 같아 보여도, 분유 속 영양소는 섬세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잘못된 온도로 타게 되면 단백질 변성, 비타민 파괴, 소화 장애까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확한 분유물 온도, 식히는 방법, 자주 하는 실수까지 신생아에게 적절한 분유 수유를 위한 기준을 정리해드립니다.

 

반응형

분유를 타는 데 적절한 물 온도는 몇 도일까?

권장 온도: 약 70℃

세계보건기구(WHO)와 식약처 기준 모두 끓인 물을 70℃까지 식힌 후 분유를 타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1. 분유 내 세균을 없애기 위한 최소 온도
    • 제조 과정에서 미량의 박테리아가 들어갈 수 있음
    • 70도 이상일 때 살모넬라균, 크로노박터균 등 사멸 가능
  2. 영양소 파괴를 줄일 수 있는 상한 온도
    • 너무 높은 온도는 비타민 C, 단백질, DHA 등 파괴

분유 타는 물 온도, 초보 부모가 자주 하는 실수

부모들이 자주 하는 잘못된 분유 물 온도 실수

❌ 끓인 직후의 물을 바로 사용

온도 100도 근접 → 분유 성분 파괴
특히 단백질과 일부 유산균은 고온에서 쉽게 변성됨

❌ 생수나 정수기 물 그대로 사용

→ 온도가 30~40도인 경우 세균이 사멸하지 않음
특히 크로노박터균은 저온에서 그대로 살아남을 수 있음

❌ 정수기 온수 이용

→ 대부분의 정수기 온수는 50~60도
→ 끓인 물이 아니므로 살균 목적에서 적절하지 않음


분유 물 70도 맞추는 실전 방법

방법 1. 전기주전자 + 타이머 식힘

  1. 생수 또는 수돗물을 끓인다 (100도)
  2. 뚜껑 열고 6~7분 식힘 → 약 70도 도달
  3. 분유를 넣고 흔든 후, 수유 전 냉각(미온수 보충 또는 찬물에 담가 식히기)

※ 물 온도는 온도계로 한 번쯤 체크해보는 게 가장 정확
→ 육아용 디지털 온도계 권장


방법 2. 젖병 2개 활용하는 2단계 희석법

  1. 끓인 물 70도 상태에서 분유를 타고 섞는다 (젖병 A)
  2. 젖병 B에 미리 끓여 식힌 미온수를 준비해둔다
  3. 두 젖병을 혼합하여 온도를 맞춘다

이 방법은 빠르게 식히는 데 효과적이며,
특히 외출 시나 밤 수유 준비 시 많이 활용됩니다.


그럼 냉장 보관해둔 물은 쓸 수 없을까?

주의:
냉장된 끓인 물이나 미온수는 직접 분유와 섞는 용도로만 사용
즉, 처음부터 차가운 물에 분유를 타면 세균 살균이 불가능합니다.

 

안전한 방식:

  • 끓인 물 → 70도일 때 분유 희석
  • 이후 식힌 물 or 냉수로 수유 온도 조절

외출할 때 분유물 온도 맞추는 꿀팁

  • 보온병에 끓인 물 보관 (끓인 직후 → 약 3~4시간 내 사용)
  • 두 번째 보온병에 식힌 물 준비
  • 현장에서 2단계 희석법으로 온도 맞춰 수유

주의사항:

  • 보온병은 6시간 이상 방치 시 미생물 번식 가능
  • 하루 지나거나 미지근한 보온병 물은 반드시 폐기

분유 타는 온도 외 추가 주의사항

  1. 분유를 물에 넣지 말고, 물에 분유를 넣는다
    → 뭉침 방지, 영양소 골고루 섞임
  2. 수유 직전 미온 상태(37~40℃)로 식히기
    → 손목 안쪽에 떨어뜨려 확인하는 방법 사용
  3. 타놓은 분유는 2시간 이내 사용, 남은 건 폐기
    → 상온에서 빠르게 세균 번식

결론

분유 타는 물 온도는 단순히 '뜨거우면 된다'는 개념이 아닙니다.
아기의 소화기와 면역력을 고려할 때, 70℃는 살균과 영양 보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황금 온도’입니다.

 

분유 조유의 핵심은 온도, 그리고 위생입니다.
분유 온도만 정확하게 맞춰도 아이의 장 건강과 소화 상태는 훨씬 더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728x90
반응형